같은 집인데 왜 재산세는 매년 오를까요?
게다가 7월에 한 번 냈는데 9월에 또 내라고 합니다.
특히 2 주택자라면 체감 세 부담은 훨씬 크죠.
이번 글에서는 재산세 납부 시기, 부과 기준, 매년 늘어나는 이유,
그리고 카드 납부 혜택까지 정리했습니다.
재산세 납부 시기
- 납부 횟수: 연 2회 (7월, 9월)
- 7월 16일 ~ 7월 31일: 1 기분
- 9월 16일 ~ 9월 30일: 2 기분
👉 단, 연간 재산세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일괄 납부 가능
재산세가 매년 오르는 이유
- 같은 집, 같은 소유자라도 매년 세금이 늘어나는 이유는 공시가격 상승
- 서울시 주택분 재산세 총액(2025년): 2.36조 원 → 전년 대비 7.8% 증가
- 강남·고가 아파트 지역일수록 세부담이 급격히 증가
부과 기준일
- 6월 1일 기준으로 집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
- 5월 31일 매도: 매수자가 납부
- 6월 2일 매도: 매도자가 납부
👉 하루 차이로 납세자가 달라지므로 매매 시점 주의 필요
납부 방법과 카드 혜택
- 온라인: 위택스(WETAX), 이택스(ETAX)
- 신용카드 납부 가능, 수수료 없음 (지방세 특성)
- 카드사 혜택:
· BC카드: 5만 원 이상 무이자 2~3개월
· 신한카드: 슬림할부 혜택
· 현대카드: 부분 무이자 + M포인트 사용
· 우리 카드: 무이자 할부 + 페이코 포인트
· 농협카드: 무이자·부분 무이자 제공
정보 요약 표
항목 | 내용 |
---|---|
납부 횟수 | 연 2회 (7월, 9월) |
부과 기준일 | 6월 1일 소유자 |
세금 증가 원인 | 공시가격 상승 |
납부 방법 | 위택스, 이택스, 카드 납부 가능 |
카드 혜택 | 무이자 할부, 포인트 사용 가능 |
결론
재산세는 피할 수 없는 지방세입니다.
매년 늘어나는 세금이 부담스럽지만,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붙어 더 큰 손해를 봅니다.
따라서 온라인 납부 시스템과 카드 혜택을 적극 활용해 부담을 줄이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Q&A
Q1. 재산세는 왜 1년에 두 번 내나요?
세액이 20만 원 초과 시, 7월과 9월 두 차례 분할 납부가 기본입니다.
Q2. 집을 사고파는 날짜에 따라 누가 세금을 내나요?
6월 1일 기준 소유자가 납세 의무자입니다.
Q3. 재산세 납부 시 카드 혜택이 있나요?
네, 카드사별 무이자 할부 및 포인트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