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3일, 글로벌 경제 흐름에서 눈여겨봐야 할 포인트는 중국의 반등 조짐입니다.
긴 침체와 디플레이션의 골짜기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이 시작됐고,
홍콩 증시가 이에 먼저 반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질 회복인지 아니면 착시인지 명확한 해석과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중국, 정말 바닥 찍었나?
중국은 최근 2분기 경제성장률 5.2%를 기록하며 전 세계의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 디플레이션 탈출 시도: 대규모 양적완화 정책 시행
● M1 공급 확대, 주거용 부동산 가격 반등 조짐
● 홍콩 항셍지수 4월 이후 강한 반등세
그러나 장기채 금리는 여전히 약세이며,
홍콩지수의 과매수 신호가 동시에 나타나 과열 우려와 회복 기대가 공존하는 상황입니다.
미국 증시 상황 요약
미국 시장은 테슬라·구글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섹터별 동향 | 특징 |
---|---|
헬스케어 · 부동산 | 강세 |
반도체 · 인공지능 | 약세 |
대표 종목 | 테슬라·애플·구글 강보합 / 엔비디아·브로드컴 약세 |
VIX 변동성 지수는 16.5로 혼조, 공포탐욕지수는 ‘탐욕’ 상태인 73까지 하락했습니다.
한국 증시 요약
국내 시장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로 대부분 업종이 하락했습니다.
● 7월 이후 상승 업종: 이차전지, 바이오
● 약세 업종: 미디어, 건설, 소프트웨어
● 특히 원자력·조선 업종은 낙폭이 큼
고점 부담과 외부 수급 요인이 복합 작용하며 추가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금융시장 주요 지표
항목 | 지표 |
---|---|
달러인덱스 | 97.09 (-) 파월 해임 무근 발언 영향 |
美 10년물 금리 | 4.34%로 하락 |
WTI 유가 | $65.46 EU 무역 갈등 및 경기둔화 우려 |
비트코인 | $119,500 상승 JP모건 BTC 담보 상품 검토 영향 |
전반적으로 글로벌 자산 시장은 ‘변동성 확대 국면’에 진입한 양상입니다.
Q&A
Q1. 중국의 반등은 확실한가요?
성장률·지표 회복 조짐은 있지만,
채권시장 약세와 부동산 회복 불확실성으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Q2. 왜 홍콩지수는 먼저 올랐나요?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와 외국인 투자자 유입 때문입니다.
다만 PD지수는 과매수 구간에 도달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Q3. 미국 증시는 실적 발표 이후 반등 가능할까요?
테슬라, 알파벳 실적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는 혼조세로 관망 분위기가 강합니다.
Q4. 한국 증시는 왜 하락 중인가요?
고점 부담 + 외국인·기관 매도 + 글로벌 경기 둔화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Q5. 현재 투자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야 하나요?
단기 급등 업종은 리스크 관리, 이차전지·헬스케어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가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