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8월 신청 총정리|신청 조건·수익률·마감일 한눈에

by narud 2025. 8. 1.

썸네일 이미지

 

 

매달 70만 원씩 5년간 저축해 5천만 원이라는 첫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하지만 이 제도가 곧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정부의 세제지원이 올해 말까지만 유지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이 가장 유리한 마지막 가입 기회입니다.

 

청년도약계좌 로고 이미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출시된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정부 지원 금융상품입니다.

 

● 월 최대 70만 원 자유 납입

● 정부 기여금 + 우대금리 + 비과세 혜택 제공

● 5년 유지 시 최대 수령액 약 5천만 원

 

가입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대다수 청년층에게 실질적인 저축 기회가 됩니다.



2025년 8월 신청 자격 총정리

 

구분 기준
나이 만 19~34세 (병역이행 시 최대 6년 연장)
개인소득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기타 최근 3년 금융소득종합과세자 제외

 

※ 육아휴직 수당, 병역수당도 인정되어 군 복무 중이나 육아 중에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절차 이미지

신청 방법과 제출 서류

 

신청은 비대면으로 가능하며 영업일 기준으로만 접수할 수 있습니다.

 

● 은행 앱 또는 홈페이지 이용

● 신청 가능 은행 (총 11곳):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iM뱅크)

 

필요서류

 

신분증

● 소득확인서류 (홈택스 발급)

● 가족관계증명서 (필요 시)



수익률 시뮬레이션

 

월 70만 원 납입 시 예상 수령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수익률 예상 수령액
최대 수익률 (5년 유지) 연 9.54% 약 5,000만 원
3년 유지 후 중도해지 연 6.9% 약 2,100만 원

 

기여금은 저소득일수록 높으며,

비과세 혜택까지 감안하면 시중 정기적금 대비 2배 이상의 실질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재명 이미지

‘청년미래적금’ 도입 전 마지막 기회

 

기획재정부는 7월 31일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세제 지원을 2025년 말까지 종료하고

대신 ‘청년미래적금’을 신설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025년 내 가입자에게는 기존 혜택을 5년간 유지해주기 때문에

지금이 사실상 가장 유리한 가입 타이밍입니다.



Q&A

 

Q1. 연말까지만 가입 가능하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정부가 세제지원 종료를 예고했기 때문에 2025년 말 이전에 가입하지 않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Q2. 직장이 없어도 가입이 되나요?

 

소득 요건만 충족하면 됩니다. 프리랜서, 자영업자도 홈택스 증빙이 가능하면 신청 가능해요.

 

Q3. 기여금은 얼마나 받나요?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지며 저소득층은 월 최대 40만 원 수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4. 해지하면 불이익 있나요?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해도 일정 수준의 기여금은 인정되며, 세제혜택 일부도 보장됩니다.

 

Q5. 청년미래적금이 더 나은가요?

 

세부 조건은 미정이며, 현재로선 청년도약계좌가 더 확정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