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세제개편안 요약|배당소득·거래세·대주주 기준 논란 정리

by narud 2025. 8. 4.

썸네일 이미지

 

 

‘코스피 5천 간다’는 말에 기대했던 개인 투자자들에게

7월 31일 발표된 세제개편안은 마른하늘에 날벼락이었습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증권거래세 인상, 대주주 기준 변화까지 내용을 살펴보면

도무지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1. 배당소득 분리과세, 몇 명이나 혜택 받나?

 

정부는 배당소득을 일정 조건에 따라 분리과세(세율 14%)로 전환한다고 밝혔습니다.

 

● 배당성향 40% 이상 or 25% 이상 + 최근 3년 평균 대비 5% 성장

● 전체 기업 중 20% 이하만 해당

● ETF, 리츠는 제외

 

실제로 4대 금융지주 중에서도 절반이 해당되지 않습니다.

즉, ‘고배당 장려책’처럼 포장됐지만 대다수 개인 투자자에게는 무의미한 정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2. 증권거래세 인상, 시장활성화 역행

 

2025년부터 코스피/코스닥의 증권거래세가 각각 0.05% 인상됩니다.

 

시장 기존 2025년 이후
코스피 0.15% 0.20%
코스닥 0.20% 0.25%

 

정부 문답자료에서는 “시장 활성화 효과는 불분명하다”고 했습니다.

즉, ‘잘 모르겠지만 일단 올리겠다’는 무책임한 결정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3. 대주주 기준, 지분이 아닌 금액으로?

 

기존에는 지분율 1% 또는 금액 10억 원 중 하나를 만족해야 대주주로 분류됐습니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코스피 10억 원, 코스닥 10억 원, 코넥스 3억 원 이상 보유 시

지분율과 관계없이 대주주로 간주됩니다.

 

문제는 10억 원이면 삼성전자 기준 지분 0.0002%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런 기준이 과연 ‘대주주’를 정의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다른 나라들은 지분율 기준을 사용하는데 한국만 예외적으로 금액 기준을 강조하는 것은

투명성보다 징세 강화 목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Q&A

 

Q1.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모든 고배당주에 적용되나요?

 

아니요. 배당성향이 높은 일부 기업에만 적용되며 ETF나 리츠는 제외됩니다.

 

Q2. 세제개편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코스피는 하루 만에 -3.88% 급락했습니다.

 

Q3. 대주주 기준이 왜 문제인가요?

 

금액 기준은 시장가치 변동성에 따라 예상치 못한 세금 부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4. 이번 개편안의 긍정적 요소는 없나요?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취지상 긍정적이나 적용 대상을 확대하지 않는 한 체감 효과는 낮습니다.

 

Q5. 투자자 입장에서 대응 전략은?

 

세금 이슈가 적은 ETF, 해외투자 등으로 분산하며 향후 추가 개정에 주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