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 매년 오는 계절세처럼 반복되죠.
하지만 2025년은 유난히 조용합니다.
카드사들의 혜택도 예년보다 눈에 띄게 줄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가장 이득인 카드 결제 방식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재산세 납부 시기와 기준일
2025년 재산세는 다음과 같이 2회 분할 납부됩니다.
구분 | 납부 기간 | 비고 |
---|---|---|
1차분 | 7월 16일 ~ 7월 31일 | 전체 주택 대상 |
2차분 | 9월 16일 ~ 9월 30일 | 1차와 동일 |
20만 원 이하 | 7월에 일괄 납부 | 분할 없음 |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잔금일이 6월 1일을 기준으로 하면 그 해 재산세 납부 의무가 발생합니다.
5월 31일 이전 소유자는 납부 대상,
6월 2일 이후 소유자는 다음 해부터 대상이 됩니다.
카드 납부가 유리한 이유
재산세는 지방세에 속하므로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이 없습니다.
국세와 달리 카드 납부 시 별도 수수료 없이 결제 가능하므로
단순 납부보다는 카드사 혜택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그러나 카드사 이벤트가 많았던 과거와 달리,
올해는 대부분 스타벅스 쿠폰, 소액 캐시백 수준입니다.
카드사별 혜택 비교 2025년
카드사 | 혜택 | 조건 |
---|---|---|
신한카드 | 0.1% 캐시백 | 체크카드 납부 / 1만 원 미만 포인트 지급 |
국민카드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1잔 | KB페이 첫 가입 + 30만 원 이상 납부 |
롯데카드 (LOCA) | 최대 2% 캐시백 | 연회비 30만 원 이상 프리미엄 카드 보유자 |
삼성카드 | 스타벅스 쿠폰 (일부 대상자) | LINK 페이지 접속 → 대상자만 제공 |
BC카드 | 청구할인 2천 원 / 머니박스 추첨 | 페이북 마이태그 등록 후 20~30만 원 이상 납부 |
농협카드 | 스타벅스 최대 5잔 | VIP 대상 / 300만 원 이상 납부 시 |
네이버페이 | 추첨 3,000 포인트 | 10만 원 이상 납부자 중 추첨 |
※ 카카오페이: 이벤트 없음
혜택 없더라도 최소한은 챙기자
이전 같으면 1%~2% 캐시백 이벤트가 많았지만
올해는 스타벅스 커피 쿠폰이 거의 전부입니다.
특정 고액 카드 보유자(VIP, 연회비 30만 원 이상) 중심 혜택만 존재하며
평균 납세자에게는 혜택이라 부르기 민망한 수준입니다.
그렇다고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 체크카드라도 캐시백 되는 카드
⮞ 추첨형 네이버페이 포인트
⮞ KB페이 신규 사용자라면 커피 쿠폰처럼
조건에 맞춰 챙길 수 있는 작은 혜택도 분명 존재합니다.
Q&A
Q1. 재산세 납부 시 반드시 카드로 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카드, 계좌이체, 현금 납부 모두 가능하며 카드납부는 선택 사항입니다.
Q2. 납부 기준일은 언제인가요?
6월 1일 기준 주택 소유자에게 해당 연도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Q3. 20만 원 이하 납부자는 왜 한 번에 내나요?
소액 납부자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1회 차에 전액 납부하는 구조입니다.
Q4. 수수료가 없는 건 국세 아닌 지방세라서?
맞습니다. 국세는 납세자가 수수료 부담, 지방세는 지자체가 부담하므로 수수료가 없습니다.
Q5. 농협카드 혜택 받으려면 얼마 내야 하나요?
300만 원 이상 납부 시 스타벅스 쿠폰 최대 5잔이 지급되며 VIP 고객 한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