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납부하는 걸로 끝내지 마세요.
이제는 같은 금액을 내더라도 어떻게 내느냐에 따라 혜택이 달라집니다.
특히 신용카드 납부는 의외로 수수료 없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재산세 카드 납부, 왜 주목받는가?
과거에는 카드 수수료를 이유로 계좌이체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지방세인 재산세는 신용카드 납부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이는 국세와의 중요한 차이점으로,
같은 금액을 카드로 결제해도 수수료 없이 카드사 혜택까지 누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재산세를 카드로 납부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2025년 재산세 납부 일정은?
재산세는 주택 기준으로 연 2회 분할 납부됩니다.
● 7월 16일~31일: 주택분 1 기분, 건축물·선박·항공기
● 9월 16일~30일: 주택분 2 기분, 토지
납부기한을 넘기면 3%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기한 내 납부가 필요합니다.
내 세금은 얼마일까? - 위택스로 확인
정확한 재산세 조회는 위택스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위택스’ 앱에서 가능합니다.
로그인 후 부과된 세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지방세 미리 계산해 보기’ 서비스로 예측도 가능합니다.
2025년에는 공시가격 구간별로 공정시장가액비율이 차등 적용됩니다.
● 3억 이하: 43%
● 3억~6억: 44%
● 6억 초과: 45%
복잡한 계산이 필요 없고, 위택스 계산기가 자동으로 처리해 줍니다.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 요약
카드사 | 혜택 | 조건 |
---|---|---|
KB국민 | 조건부 청구할인 | 전월 실적 충족 시 할인 (예: 7,000원) |
신한 | 0.1% 캐시백 | 개인 체크카드로 납부 시 |
BC카드 | 페이북 혜택 | ‘마이태그’ 등록 후 3천~5만 원 머니 적립 |
롯데 | 1~2% 캐시백 | 로카 프로페셔널 카드 등으로 납부 |
KB PAY | 전자고지+경품 이벤트 | 세액 공제 최대 1,600원 + 앱 납부 참여 |
위 혜택들은 시기와 조건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으므로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사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카드 납부 전 체크리스트
카드로 재산세를 납부하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팁입니다.
1. 한도 확인: 고액 납부 시 한도 초과로 결제 실패 가능성. 미리 임시한도 요청 필요
2. 공동명의 주택: 지분별로 고지되지만, 한 명 카드로 통합 납부 가능
3. 전자고지/자동이체: 각각 800원씩, 최대 1,600원까지 세액 공제
4. 6월 1일 기준일: 해당 날짜에 소유한 사람에게 과세. 매도/매수 시기 중요
Q&A
Q1. 재산세를 카드로 내면 수수료가 없나요?
지방세인 재산세는 신용카드 납부 시 수수료가 없습니다. (국세는 수수료 발생)
Q2. 카드로 낼 때 어떤 혜택이 있나요?
카드사에 따라 청구할인, 캐시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이 제공됩니다.
Q3. 공동명의일 때 납부는 어떻게 하나요?
각각 고지되더라도 한 명의 카드로 합산 납부 가능하며, 실적 유리한 카드 사용이 효율적입니다.
Q4. 전자고지 신청은 왜 해야 하나요?
고지서당 800원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고, 자동이체까지 신청하면 총 1,600원 절세 효과가 있습니다.
Q5. 납부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2025년 7월분 재산세는 7월 31일까지 납부해야 하며, 미납 시 가산세 3%가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