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미국 경제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런데 이 보도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14조 원대 명예훼손 소송을 당한 바로 그 직후,
WSJ이 미국 경제에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기 때문입니다.
과연 이 보도는 사실일까요, 아니면 방어 전략일까요?
WSJ “소비자들, 관세 충격 회복 중”
WSJ 보도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은
2025년 봄 관세 충격에서 벗어나 다시 지갑을 열기 시작했습니다.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상승
● 소매 판매 지표, 예상보다 상승
● 인플레이션 전망 완화 (6.6% → 4.4%)
이러한 소비 회복은 기업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고,
JP모건 등 대형 금융사들이 경기 침체 가능성을 철회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처음엔 충격, 하지만 결국 소비는 살아난다”
JP모건 CFO 제러미 바넘은 “관세 정책 초기 충격 이후 사람들은 일단 멈췄지만,
결국 소비는 다시 시작된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WSJ 보도에도 반영되었으며,
경제학자들은 기존의 침체 예측을 수정하고 ‘느린 성장 지속’으로 전망을 조정 중입니다.
시점 | 경제 예측 |
---|---|
2025년 4월 | 경기 침체 가능성 高 |
2025년 7월 | 완만한 성장세 지속 |
트럼프의 소송과 WSJ의 태도 변화?
앞서 WSJ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고(故) 엡스타인에게
외설적인 생일 편지를 보냈다고 보도해 거센 반발을 샀습니다.
이에 트럼프는 100억 달러(약 14조 원) 규모의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고,
WSJ은 바로 다음 날부터 미국 경제에 대한 긍정 보도를 이어갑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경제 낙관 보도가 정치적 메시지를 희석하려는 시도”라는 해석도 제기됩니다.
WSJ 보도와 실제 경제의 온도차
WSJ는 물가 급등이 없고, 소비가 회복 중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소비 양극화”나 “지표의 착시 효과”를 지적하기도 합니다.
특히 중산층 이하 가계에서는 여전히 생활물가 상승 체감과
실질소득 정체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WSJ 보도가 전적으로
미국 경제의 ‘회복 신호’만을 반영한 것은 아니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Q&A
Q1. WSJ의 미국 경제 회복 보도는 신뢰할 수 있나요?
소비 회복 지표는 실제로 존재하지만, 전체 경제를 설명하기엔 다소 긍정적 해석이 섞였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Q2. 트럼프와 WSJ의 법적 분쟁이 경제 보도에 영향을 줬을까요?
직접적인 연관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시점상으로는 눈여겨볼 만한 흐름입니다.
Q3. 미국은 현재 경기 침체 상황인가요?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침체 가능성을 철회했지만, 고용, 물가, 소비 등 전반적 회복은 아직 ‘더딘 상승세’ 수준입니다.
Q4. 관세 정책은 소비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초기에는 소비 위축, 심리지수 하락을 불러왔지만 지금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Q5. 인플레이션 우려는 해소됐나요?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은 낮아졌지만, 실제 물가 안정은 여전히 시장의 핵심 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