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채권2

미국국채 시장 변화 요약|SLR 규제완화 지연·지니어스법안 부결 미국 국채 시장에 심상치 않은 흐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SLR 규제완화 시행이 지연되고, 지니어스 법안이 하원에서 부결되며미국 국채 수급 불안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변동성 높은 시장에서 우리는 어떤 포지셔닝을 해야 할까요? 7월 초, 미국 장기국채 전량 매도 글 작성자는 4.5% 후반대에서 매수한 장기국채를 7월 초 4.2%대에 전량 매도했습니다.수익률은 높지 않았지만, 타이밍 중심의 리스크 최소화 매매를 지향한 전략이었습니다.국채 금리는 10일 후 다시 4.5%를 회복하며 매도 시점의 유효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SLR 규제완화, 아직은 '시행 전' 6월 25일 연준 이사회에서 SLR 규제완화가 가결되었지만,즉시 시행되는 것은 아닙니다.60일의 의견 수렴 기간이 시작되었으며,최종 시행은 빠르면 .. 2025. 7. 16.
정보는 있지만 권한은 없다…개인은 왜 채권 투자에서 불리한가? 채권은 경제 흐름을 해석하는 가장 정교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채권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는 여전히 '관객'일 뿐입니다. 정보는 많아졌지만, 진짜 투자 기회를 만들 수 있는 '자리'는 여전히 비어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더 많은 데이터가 아니라, 시장에서 협상하고 판단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개인은 왜 채권 가격을 협상할 수 없을까? 한국의 채권 시장은 기본적으로 기관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거래는 장외(OTC)에서 이루어지며, 전화나 전용 단말기를 통해 증권사·운용사·은행 등 소수 기관끼리 협의해 가격을 정합니다. 개인 투자자가 채권을 구매할 수 있는 창구는 HTS나 MTS를 통한 ‘소액 채권 거래’가 대부분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소비자'로서의 접근입니다.가격은 이미 .. 202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