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4 24억 잠실 리센츠 경매 낙찰가 33억 – 시세와 비슷한 이유와 시장 전망 정부의 9·7 부동산 대책 이후 경매시장이 위축될 것이란 예상과 달리,잠실 리센츠 아파트는 감정가보다 8억 이상 높은 가격에 낙찰되었습니다. 이번 사례는 '경매는 시세보다 싸게 산다'는 통념을 뒤집으며,자금력이 있는 수요층이 여전히 강남권을 지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잠실 리센츠 경매 결과 - 아파트: 잠실 리센츠 전용 84㎡- 감정가: 24억 9,000만 원- 낙찰가: 33억 6,999만 원 (낙찰가율 135%)- 응찰자: 27명👉 시세 최고가(34억 4,000만 원)와 불과 7,000만 원 차이 같은 날 현대아파트 사례 - 잠실 현대 84㎡, 감정가 14억 원- 낙찰가 16억 5,000만 원 (낙찰가율 118%)👉 강남권 아파트는 여전히 높은 경쟁률 기록대출 규제와 시장 흐름 - 정부 9·7 대.. 2025. 9. 16. 서울 아파트값 상승 이유 – 대출 규제에도 집값 오르는 배경과 전망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시행됐음에도 서울 아파트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세 가격 급등과 공급 차질이 매매 시장을 자극하면서,갭투자 수요까지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 자세히 알아보기 6·27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지난 6월 시행된 6·27 대출 규제로 수도권 주담대 한도가 최대 6억 원으로 줄었지만,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8월 11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0.13% 상승했습니다. 특히 송파구(0.46%), 광진구(0.35%), 영등포구(0.30%) 등에서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부동산 가격과 유동성 관계 보통 집값 상승은 ‘돈이 풀려서’라고 해석되지만, 데이터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엔 통화량이 늘어도 집값은 폭락했고,2013년엔 집값이 오르.. 2025. 8. 25. 6.27 부동산 대책 | 서울에서 10억 이하 아파트는 사라진다 정부가 발표한 6.27 부동산 대책, 과연 누구를 위한 정책일까요? 이번 대책은 겉으로는 시장 안정을 목표로 한다지만,내용을 뜯어보면 소득이 높을수록 더 불리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돈을 잘 벌고, 세금을 성실히 내고, 주택을 마련하려는 사람들이정작 가장 먼저 규제 대상이 되는 역설적인 상황. 이런 정책이 진정한 ‘평등’이라 할 수 있을까요? 정책의 본질은 '소득 역차별' 6.27 부동산 대책은 “고소득자일수록 대출 한도를 제한한다”는 구조로 설계됐습니다. 이는 결국 ‘더 벌수록 더 불리한’ 규제이며,기회 자체를 차단하는 제도입니다. ● ✅ 연 소득 1억 이상 가구: 대출 한도 제한 → 실질적 자산 형성 기회 박탈● ✅ 연 소득 1억 이하 가구: 원래부터 대출 여력 낮음 → 규제 무풍지대 정책은 ‘.. 2025. 6. 30. 2025 서울 집값 상승 원인과 이재명 정부 부동산 대책 총정리 서울 집값, 또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이재명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은 공급 확대를 앞세우고 있지만,현장에서는 거래량과 가격이 모두 급등 중입니다. 대출·세금은 그대로인데, 집값은 오르는 지금의 흐름…도대체 시장은 왜 이렇게 반응할까요?핵심 요약으로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의 맥을 짚어드립니다. 서울 집값, 다시 오른다…그 신호들 2025년 6월 기준, 서울 부동산 매매가는 빠르게 상승 중입니다.강남·송파를 중심으로 시작된 상승세는 마포, 성동, 강동 등 주요 지역으로 확산되며실거래 신고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5월 아파트 거래량은 7,800건, 6월에는 1만 2천 건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이는 2020~21년 ‘패닉바잉’ 수준에 근접하는 수치입니다.토지거래허가제의 효과는 일시적이었다 정부는 수요 억제 .. 2025. 6.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