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화폐의 종류와 사용 팁 (모바일형, 카드형, 종이형 지역사랑상품권)
지역화폐는 이제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지역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발행하고 있으며, 종류도 다양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어떤 형태로 발행되는지, 어디서 어떻게 써야 가장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화폐의 주요 종류와 각각의 특징, 그리고 꼭 알아두면 유용한 사용 팁을 정리해 드립니다.지역화폐의 3가지 유형, 어떻게 다를까?현재 대부분의 지역화폐는 아래 3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1. 모바일형 지역화폐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로, 앱을 통해 충전과 결제가 가능하며 사용처 검색도 편리합니다. 경기지역화폐, 대전 온통대전, 전북 지역상품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QR코드 또는 바코드 결제 방식이 일반적이며, 앱 내에서 ..
2025. 5. 7.
뒤늦은 추경, 경제 체감도는 왜 개선되지 않을까? (예산 타이밍, 민생, 정책 신뢰도)
13조 8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거리에서 들려오는 반응은 냉담합니다. 물가는 여전히 오르고, 자영업자는 장사가 어렵다고 말합니다. 정책은 발표됐고 돈도 풀린다는데, 왜 정작 체감은 바뀌지 않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뒤늦은 추경의 한계와 한국 경제의 체감 격차 문제를 짚어봅니다.추경의 속도, 정책 타이밍이 성패를 가른다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추경을 편성했다는 소식은 익숙하지만, 중요한 건 ‘언제’ 집행되느냐입니다. 실제로 추경이 국회 문턱을 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은 빠른 편이 아니었습니다. 경기 둔화 조짐이 뚜렷해진 건 1분기 GDP가 -0.2%를 기록했던 시점부터였지만, 본격적인 예산 논의는 그 이후에야 시작됐습니다.예산이 확정되더라도 부처별 집행계획 수립, 지방정부 전달..
2025. 5. 6.